뽀사장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뽀사장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6)
    • 이론공부 (37)
      • 코틀린 문법 (10)
      • 아티클 (4)
      • IT 개념정리 (23)
    • 실습 (24)
      • 과제 (6)
      • 팀프로젝트 (4)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7)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7)
    • 오류 (3)

검색 레이어

뽀사장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Process와 Thread

    2024.06.24 by 뽀사장

  • DTO, DAO, Entity

    2024.06.20 by 뽀사장

  • MVVM패턴 (Model - View - ViewModel)

    2024.06.19 by 뽀사장

  • Android의 4대 컴포넌트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

    2024.06.18 by 뽀사장

  • API를 이용해서 검색결과를 최신순으로 정렬하는 방법

    2024.06.14 by 뽀사장

  • Preference란?

    2024.06.13 by 뽀사장

  • 스크롤 최상단으로 이동시키는 플로팅 액션 버튼 만들기

    2024.06.12 by 뽀사장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텍스트 입력 후 키보드 숨기기

    2024.06.10 by 뽀사장

Process와 Thread

Process와 Thread는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본 단위이다 process는 자체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실행환경을 가지고 있다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위로 프로세스간에 서로의 메모리나 자원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동시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를 예를 들면 그 애플리케이션이 각각의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Thread는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실행단위로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지 않고 공유하기 때문에 서로의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예시로는 웹 브라우저의 탭 또는 백그라운드 작업이 있다

이론공부/IT 개념정리 2024. 6. 24. 20:50

DTO, DAO, Entity

DTO는 Data Transfer Obfect의 약자로 레이어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데이터베이스와 직접 연관되지 않고 네트워크 통신이나 API응답에서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전송할 때 사용예를 들어 UI layer의 ViewModel과 Data Layer의 Repository가 주고 받는 데이터 클래스를 DTO라고 할 수 있다 DAO는 Data Access Object의 약자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다데이터 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추상화로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Entity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매핑되는 객체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나타내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있어서 클..

이론공부/IT 개념정리 2024. 6. 20. 19:36

MVVM패턴 (Model - View - ViewModel)

MVVM패턴이란 앱개발에 많이 사용 되는 아키텍처 패턴 중 하나로 Model - View - ViewModel 을 합친 용어이다 MVVM의 핵심은 화면을 만드는 코드와 뒤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코드를 분리해서 최대한 기능적으로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개발하기 때문에 테스트가 쉽고 관리가 용이하다View 와 Model, ViewModel 사이에 의존성이 없어서 독립적인 모듈화가 가능하기모듈간의 의존성을 분리해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중목되는 코드도 모듈화 하여 재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코드 중복을 줄이고 개발 효율성을 높여준다LiveData나 Observable을 통해 비동기 작업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론공부/IT 개념정리 2024. 6. 19. 19:12

Android의 4대 컴포넌트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는 액티비티, 서비스, 브로드캐스트 수신자, 콘텐츠 제공자가 있다 1. Activity (액티비티)액티비티는 UI를 구성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로 하나의 화면을 나타내며, 앱이 실행될 때 첫번째로 실행되는 컴포넌트이다 2. Service (서비스)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컴포넌트이다오랫동안 실행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원격 프로세스를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사용자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며 백그라운드에서 음악재생을 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와 같은 작업을 처리한다 3. Broadcast Receiver (브로드캐스트 수신자)다른 앱이나 시스템으로 부터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이벤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컴포넌트시스템 전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응답한다예를..

이론공부/IT 개념정리 2024. 6. 18. 16:09

API를 이용해서 검색결과를 최신순으로 정렬하는 방법

데이터베이스는 ‘sort’기능을 제공하여 결과를 정렬할 수 있다‘/search’앤드포인트를 정의하고 여기에 검색 쿼리를 포함해서 GET요청을 보낸다JSON형식의 응답을 반환하고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HTTP응답을 받음응답데이터를 JSON형식으로 파싱필요한 데이터를 추출추출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표시‘sort’메서드를 사용하여 내림차순 정렬이렇게 하면 최신 동영사이 먼저 표시됨

이론공부/IT 개념정리 2024. 6. 14. 22:18

Preference란?

Preference란?프로그램의 설정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키-값 세트로 정보를 저장 SharedPreferences클래스키-값 세트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래스액티비간에 공유하며 한쪽에서 수정하면 다른쪽에서도 수정된 값을 읽을 수 있지만 응용프로그램 고유한 정보라서 외부에서는 읽을 수 없음gksrodml Shared Preference파일을 사용하는 경우Activity 클래스에 정의된 메소드 이므로, Activity 인스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생성된 액티비티 전용이기 때문에 같은 패키지의 다른 액티비티는 읽을 수 없다파일명은 액티비티와 동일한 이름으로 생성한다   여러개의 Shared Preference파일을 사용할 경우getSharedPreferences 사용name: 데이터를 저장할 ..

실습/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24. 6. 13. 20:01

스크롤 최상단으로 이동시키는 플로팅 액션 버튼 만들기

xml파일에서 floating button을 만들고  binding.플러팅버튼아이디.setOnClickLisner{    binding.스크롤 화면 아이디(스크롤뷰, 리사이클러뷰 등).smoothToPosition(0) 입력

실습/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24. 6. 12. 19:3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텍스트 입력 후 키보드 숨기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키보드 숨기기를 원할때는 아래 코드를 입력해주면 된다// 키보드를 숨기기 val imm = requireContext().getSystemService(Context.INPUT_METHOD_SERVICE) as InputMethodManager imm.hideSoftInputFromWindow(binding.etSearch.windowToken, 0)  지난번에 유투브 API를 받아와서 어플만드는 과제를 진행 할 때 써치 프래그먼트에 검색 버튼을 눌렀을 때 키보드가 숩겨지도록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다

실습/안드로이드 스튜디오 2024. 6. 10. 15:12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9
다음
TISTORY
뽀사장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