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T 지식 책정리 6

이론공부/IT 개념정리

by 뽀사장 2024. 2. 13. 17:25

본문

728x90
반응형

 

 

 

JSON

클라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때 필요한 데이터들을 JSON형식으로 주고받는다

 

- 중괄호로 시작

- 키(Key)와 값(Value)으로 이루어짐

- 키와 값은 '콜론(:)'으로 구분

 

 

 

 

HTML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브라우저만 있으면 스마트폰, PC, 노트북, 윈도우, 맥, IOS, 안드로이드에서도 모두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동일한 정보를 볼 수 있다

 

- <h>: Header(대제목)

- <p>: Paragraph(문단)

- <ol>: Ordered List(순서가 있는 목록)

- <ul>: Unordered List(순서가 없는 목록)

- <a>: 다른 HTML문서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개념

- 위와같이 정보를 표현하기위한 코드를 '태그'라고 부른다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단지 브라우저가 볼 수 있는 문서를 적는 언어이다

 

 

HTML은 정보전달에만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에 디자인 기능이 부족해서 CSS가 생겼다

그래서 디자인 수정은 CSS만 바꾸면 되고 정보 수정은 HTML코드만 바꾸면 된다

이런 HTML과 CSS를 합쳐서 '퍼블리싱'작업이라고 표현하고, 이 작업을 하는 사람을 '퍼블리셔'라고 부른다

 

'마크업'이라는 말도 종종 등장하는데 HTML작업을 주로 하는 사람이다

 

 

기능적인 부분에서 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할 때가 생기는데 이때 웹 쪽에서는 'JavaScript'라는 언어가 프로그래밍 언어역할을 한다

 

JavaScript는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열어서 HTML로 바꿔준다. 필요에 따라 CSS를 추가할 수 있다

 

크롬에서 현재 페이지의 HTML코드를 열어서 수정이나 삭제를 해도 본인 컴퓨터에 다운로드 된 HTML사본의 일부가 수정된것일 뿐 HTML, CSS, JavaScript의 완성본은 모두 서버에 있어서 새로고침 한번으로 다시 원상 복구 할 수 있다

이것이 웹가 앱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애플리케이션을 1.0.0에서 2.0.0으로 변경하려면 업데이트가 필요하고 모바일이라면 심사도 필요하다

그렇게 업데이트된 결과를 또 유저가 다운로드 받아야 변화가 반영된다

 

웹은 서버의 원본을 바꾸면 '새로 고침'할 때 바뀐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등의 파일이 다시 다운로드 되고 심사과정이나 유저의 업데이트 과정도 없다

 

 

웹과 앱의 장단점

 

[웹]

- 수정이 용이하지만 새로고침을 할 때 마다 서버로부터 다시 데이터를 다운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애플리케이션]

- 수정 후 유저에게 도달하기까지 과정이 있지만 웹에 비하면 네트워크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 한번받은 데이터는 앱에 저장하고 새로들어온 데이터만 받거나 온라인상태일때만 '동기화'를 진행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728x90
반응형

'이론공부 > IT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지식 책정리 8  (0) 2024.02.16
IT 지식 책정리 7  (0) 2024.02.15
IT 지식 책정리 5  (0) 2024.02.06
IT 지식 책정리 4  (0) 2024.02.05
IT 지식 책 정리 3  (0) 2024.02.0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