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사장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뽀사장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6)
    • 이론공부 (37)
      • 코틀린 문법 (10)
      • 아티클 (4)
      • IT 개념정리 (23)
    • 실습 (24)
      • 과제 (6)
      • 팀프로젝트 (4)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7)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7)
    • 오류 (3)

검색 레이어

뽀사장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 데이터 - SharedPreferences

    2024.05.01 by 뽀사장

  • Kotlin Docs Scope functions / 범위 기능 1

    2024.03.29 by 뽀사장

  • Kotlin Docs Extensions / 확장 프로그램 1

    2024.03.28 by 뽀사장

  • 코틀린 lateinit과 by lazy에 대해서

    2024.03.22 by 뽀사장

  • 코딩 컨벤션이란

    2024.03.05 by 뽀사장

  • 코틀린 기본 문법 / 컬렉션

    2024.02.26 by 뽀사장

  • 코틀린 기본 문법 / 배열

    2024.02.23 by 뽀사장

  • 코틀린 기본 문법 / 조건문 when

    2024.02.22 by 뽀사장

데이터 - SharedPreferences

SharedPreferences란애플리케이션의 간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주로 키-값 쌍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다른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예시 코드 private fun saveData() { //pref라는 이름으로 preferences파일을 만든다 val pref = getSharedPreferences("pref",0) val edit = pref.edit() // 수정 모드 // 1번째 인자는 키, 2번째 인자는 실제 담아둘 값 //name이라는 키에다가 etHello에 쓴 텍스트를 스트링으로 넣어준다 edit.putString("name", binding.etHello.text.toS..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5. 1. 15:37

Kotlin Docs Scope functions / 범위 기능 1

https://kotlinlang.org/docs/scope-functions.html Scope functions | Kotlin kotlinlang.org 범위기능 (Scope functions) 코틀린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객체의 맥락 내에서 코드 블록 실행이 유일한 목적인 함수들이 포함되어 있다. 람다표현식을 제공하는 객체에서 함수를 호출 할 때 임시 범위를 형성한다. 이 범위에서는 이름없이 개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런 함수를 범위함수라고 한다. let, run, with, apply, also 다섯가지가 있다 기본적으로, 이런 함수는 모두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객체에서 블록코드를 실행한다. 블록안에서 이 객체를 사용하는 방식과 전체 표현식의 결과가 다르다. 범위 함수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예: ..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3. 29. 18:50

Kotlin Docs Extensions / 확장 프로그램 1

이번 수준별학습반 과제로는 코틀린 자료를 읽고 정리하는건데 되도록 자동변역을 쓰지말라고 했다 솔직히 자동변역으로하면 더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서 블로그로만 봤는데 원하는 부분을 찾기도 어렵고 정석적인 방법이 아닌것들도 너무 많아서 힘들던차에 잘된것 같다 그래서 영어학원에서 하듯이 코틀린자료를 그대로 변역해가면서 내용을 써보려고 한다 https://kotlinlang.org/docs/extensions.html Extensions | Kotlin kotlinlang.org Extensions ~ Extension functions 확장프로그램(Extensions) 코틀린은 클래스 상속하거나 데코레이터(Decorator)와 같은 디자인 패턴 사용 없이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새로운 기능으로 확장하는 것을 제공..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3. 28. 15:39

코틀린 lateinit과 by lazy에 대해서

이번에 수준별 반 과제를 진행하게 되면서 lateinit을 접하게 되었다 lateinit을 검색했더니 다 by lazy와 함께 설명이 되어있길래 보니까 비슷한듯 다르게 쓰이는 애들이였다 [공통점] 초기화를 나중에 할 때 사용한다 [차이점] - lateinit var로 선언하며 언제든 값을 수정할 수 있다 초기화는 선언이후 언제든 할 수 있다 코드 앞에 붙여서 쓴다 - by lazy val로 선언하며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변수를 호출 할 때 한번만 가능하다 코드 뒤에 붙여쓴다 여기서 그럼 초기화를 나중에 한다라는것은 뭘까? 의문이 들었다 코틀린은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초기화를 진행해줘야한다 하지만 일단 선언은 하는데 그 내용물을 당장 넣을 수 없는 상황이 생길때가 있다 그럴때는 null로 초기화 하는 것..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3. 22. 17:20

코딩 컨벤션이란

[코딩 컨벤션이란?] 가독성을 증가시키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규칙이다 이 규칙으로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하다 [자주 사용하는 컨벤션 (표기법)] 1. camelCase (카멜케이스) 표기법 a. 주로 변수, 메소드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 b. 두단어 이상 붙여서 쓸 때 2번째 단어 부터 첫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2. snake_case (스네이크케이스) 표기법 a. 주로 상수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 b. 단어를 연결 할 때 _으로 연결한다 3. PascalCase (파스칼케이스) 표기법 a. 주로 클래스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 b. 단어의 첫글자 마다 대문자로 쓴다 [코틀린 코딩 컨벤션] 1. 저작권/라이선스 a. 파일에 저작권 또는 라이선스 헤더가 포함된 경우 맨 위에 여러 줄로..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3. 5. 16:42

코틀린 기본 문법 / 컬렉션

[컬렉션] - 배열과 달리 공간의 크기를 고정하지 않아서 동적 배열이라고도 한다 - 리스트(List), 맵(Map), 셋(Set) 으로 나눌 수 있다 - 리스트 자료형 앞에 뮤터블(Mutavle)을 붙는다 - '데이터 타입Of' 형태로 사용 - add 함수로 값을 추가할 수 있고 공간이 자동 증가한다 - get 함수로 값을 꺼낼 수 있는데 인덱스를 지정해서 몇 번째 값을 꺼낼 것인지 명시해야 한다 - set 함수로 수정, removeAt 함수로 삭제할 수 있다 - size 프로퍼티를 사용하면 컬렉션의 개수를 가지고 올 수 있다 ***뮤터블이란? 변할 수 있다는 의미로 동적배열로 사용하기 위해 뮤터블로 만들어진 데이터타입을 사용해야한다 - get함수를 지원하지 않으며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리스트와 비..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2. 26. 20:24

코틀린 기본 문법 / 배열

[배열] - 여러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형 - 데이터의 개수만큼 배열의 크기가 결정 되기때문에 중간에 개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없어서 개수를 정해놓고 사용해야 한다 -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선언한다 var 변수 = Array(개수) ex. var students = IntArray(10) ***컴퓨터는 0을 첫번째로 인식하기 때문에 10개의 공간을 가지는 배열의 경우 인덱스(Index)는 0부터 9까지다 - String은 기본타입이 아니기때문에 StringArray는 없지만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var stringArray - Array(10, { item -> "" } ) - arrayOf 함수를 사용해서 String 값을 직접 할당 할 수도 있..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2. 23. 16:56

코틀린 기본 문법 / 조건문 when

조건문 when을 보기 전에 switch 문을 먼저 봐야한다 switch 문은 ==만 사용해서 같은 값인지 비교하는 조건문으로 선택문이라고도 불린다 - 같은 값 뿐만 아니라 범위 값도 처리할 수 있다 - 특정 값을 선택할 수 있는 switch의 사용법에 if 문의 범위 비교 기능이 더해진 if문의 확장판이라고 할 수 있다 - when 다음 괄호 ()안에 파라미터로 사용할 변수명을 넣고 중괄호 {}를 사용해서 블록을 구문한다 (파라미터 없이 if문 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 비교할 값은 화살표 연산자 (Arrow Operator '->')를 사용하며 if와 마찬가지로 else도 활용한다 - 결과처리가 같은 비교값은 콤마(,)로 구분해서 한번에 비교할 수 있다 - 법위 값을 비교할 때 in을 사용해서 비교..

이론공부/코틀린 문법 2024. 2. 22. 17: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뽀사장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